목록식량위기 (3)
Building Bridge of LOVE
겨울이 점점 다가오고 있습니다. 내일은 8년만에 10월에 기온이 영하로 내려간다고 하는군요. 그만큼 추위가 빨리 오는 것같습니다. 겨울이 빨리 찾아오면서 북한은 새로운 만성적 식량위기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유엔의 보고서에 따르면 최소 350만명의 여성과 어린이들이 식량부족으로 인해 고통을 당하고 있다고 합니다.(자세한 기사 원문 읽기) 이렇게 식량위기가 오게 된 원인으로 세계 경제 위기의 여파, 곡물 수확량이 지난해에 비해 20% 감소, 올 여름 일부 지역에 심각한 가뭄, 8월에는 중국 접경지대의 폭우로 인해 홍수가 난 것 등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지난 1990년대와 비슷한 수준의 기근이라고 하는데요. 겨울철이 다가오면서 상황은 점점 악화되고 있습니다. * 유니세프(UNICEF..
유엔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식량계획(WFP)가 공동으로 발표한 보고서에 의하면, 북한(DPRK)의 전체인구의 40%에 해당하는 870만명에 달하는 북한 사람들이 기근으로 인해 굶주림에 시달리고 있어, 이들에게 식량을 원조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한다. 기근으로 인해 특히 어린이, 임산부, 노인 등 면역력이 약한 집단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북한은 지난 몇 년간 한국, 중국, 세계식량계획(WFP) 등의 식량구호에 의존해 왔지만 지난 몇 년간 계속되는 홍수와 한국의 비료원조 중단으로 식량수확이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 11월부터 내년 10월까지 북한은 약 50만톤의 곡물을 수입할 예정임에도 불구하고 약 83만 6000톤에 달하는 곡물부족에 시달릴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북한이 기근으..
오늘 신문에서 가장 많이 눈에 들어오는 내용이 바로 전 세계의 식량위기에 대한 부분이었다. 곡물 및 식품가격이 급등하고 있고, 이에 따른 폭동(아이티, 베트남 등)과 파업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식량부족 위기가 심각하다는 것이었다. 특히 서부 사하라 지역의 식량 위기는 심각하며 5억이 넘는 사람들이 굶주림의 위기에 처해 있다고 한다. 이러한 식량위기는 전 세계적인 현상인데 이러한 위기가 발생하게 된 근본적인 원인은 바로 '기후변화' 라고 한다. 특히 지구 온난화의 문제가 심각한데 이산화탄소 배출이 증가해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으면 점점 사막화 혹은 홍수로 인해 더더욱 이러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한다. 아래는 이 문제에 대한 세계의 각 지도자들의 말들이다. 전반적으로 가장 강하게 와 닿는 부분은 선진..